N2info 2021. 2. 5. 23:25

원격 접속을 할때 IP를 이용해 접속을 해줘야하는데

통상적인 환경에서는 매번 IP가 변경되기 때문에

고정아이피를 설정해줘야 외부에서 접속하기 수월해집니다.

 

우선 SSH에 접속하여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netstat -nr

그럼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뜰텐데

붉은색 체크박스로 표시해둔 부분을 잘 기억해둡니다.

이번엔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sudo nano /etc/dhcpcd.conf

그럼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뜰텐데 여기서 IP를 설정해주는 코드를 찾아주겠습니다. 

ctrl + W를 입력하여 Search 모드로 들어가신 후

아래와 같이 example static ip를 입력합니다.

이후 아래 구문과 똑같이 만들어주시면 됩니다.

#Example static IP configuration:
interface eth0  #<-- 유선랜 사용시 eth0라고 입력하고
interface wlan0 #<-- 무선랜 사용시 wlan0라고 입력합니다.
static ip_address= 192.168.0.12/24  #<--설정하고자 하는 IP입니다.
#static ip6_address=fd51:42f8:caae:d92e::ff/64
static routers=192.168.0.1  #<--공유기의 IP입니다.
static domain_name_server=8.8.8.8

ctrl + X를 입력해 설정을 저장하고 편집기를 빠져나가신 후

sudo reboot 명령어를 통해 라즈베리파이를 리부팅 시켜줍니다.

이후 ifconfig 명령어를 통해 변경된 IP를 확인해줍니다.

 

출처 : bebutae.tistory.com/53?category=941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