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두이노 나노 IOT 33 사용준비
아두이노 나노 33 IoT 정품은 핀이 납땜되지 않고, 본체와 15x2 핀헤다 2개로 구성됨
아두이노 나노는 아래 그림과 같이 분류된다.
보드 이름
|
MCU(마이크로 컨트롤러)
|
스펙(최대 클럭/ 플래시 메모리/ 램)
|
특징
|
아두이노 나노
|
Atmega328P
|
16MHz/ 32KB/ 2KB, 8Bit
|
제일 기본의 아두이노 나노
5V I/O 사용
|
아두이노 나노 every
|
Atmega4809
|
20MHz/ 48KB/ 6KB, 8Bit
|
아두이노 나노에 비해 성능 향상, 5V I/O 사용
|
아두이노 나노 33 IoT
|
SAMD21G18A
|
48MHz/ 256KB/ 32KB, 32Bit
|
Arm Coretex M0 아키텍처, NINA W102 (ESP32 기반 WIFI, BLE), 6축 IMU, 3.3V I/O 사용
|
아두이노 나노 33 BLE
|
nRF 52840
|
64MHz/ 1MB/ 256KB, 32Bit
|
Arm Coretex M4F 아키텍처, NINA B306 BLE 칩셋, 6축 IMU,
3.3V I/O 사용
|
아두이노 나노 33 BLE Sense
|
nRF 52840
|
64MHz/ 1MB/ 256KB, 32Bit
|
Arm Coretex M4F 아키텍처, NINA B306 BLE 칩셋, 9축 IMU,
3.3V I/O 사용
|
아두이노 나노 사용법
아두이노 나노 33 IoT를 사용할 때에는 기본적으로 아두이노 IDE를 사용하여 프로그래밍할 수 있음
프로그래밍하기 전에 아두이노 IDE에 Nano 33 IoT에 대한 설정을 진행해야 합니다.
아두이노 IDE 설정은 툴-보드, 툴-포트 이 두 가지를 설정해야 보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본 IDE의 보드에서는 아두이노 나노 이외에는 찾아볼 수 없습니다.
아두이노 IDE에서 보드를 없는 보드를 추가할 때에는 보드 툴-보드의 상단의 '보드 매니저...'로 다양한 보드들을 검색하여 추가할 수 있습니다.
나노 33 IoT를 추가할 때에는 검색창에 "NANO 33"이라고 검색하고 'Arduino SAMD Boards (32-bits ARM Cortex-M0+)'를 확인하고 설치합니다. 보드를 설치하고 다시 보드 옵션을 확인해보면 Arduino SAMD 하위에 Arduino NANO 33 IoT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NANO 33 IoT를 선택하여 보드를 설정해줍니다.


보드를 설정한 후에는 포트 설정이 필요합니다. 포트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보드의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하지만 Nano 33 IoT 보드의 드라이버는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드라이버 설치가 완료되면 윈도우에서는 장치 관리자에서 포트를 확인하여 설정할 수 있고, 리눅스나 맥에서는 장치 정보에서 보드가 인식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드 인식이 확인되면 IDE에서 툴-포트의 옵션을 통해 아두이노를 설정해 주면 보드 설정은 완료됩니다.
참고 : https://blog.naver.com/roboholic84/221704521644
Arduino Nano 33 IoT 사용법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메카솔루션 입니다. 오늘은 아두이노 나노 33 IoT에 대해서 알아보고 사용방법에 대해서 조금...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