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W 프로그래밍/아두이노60

아두이노 나노 에브리 사용... 용량이 크다고 해서 시도해봄 아래 소스를 업로드하고 작용을 확인하는데 일단 작동은 됨/* Blink Turns an LED on for one second, then off for one second, repeatedly. Most Arduinos have an on-board LED you can control. On the UNO, MEGA and ZERO it is attached to digital pin 13, on MKR1000 on pin 6. LED_BUILTIN is set to the correct LED pin independent of which board is used. If you want to know what pin the on-board LED is connect.. 2025. 2. 20.
coolterm 2.3 UTF-8 설정 coolterm 2.3을 설치하고 아두이노에서 전송받으면 한글이 아래와 같이 깨진다. 인터넷을 서칭해봐도 마땅한 해결법을 찾지 못하다가 찾았다아래와 같이 하면 된다.Option을 클릭하면 아래 화면이 보인다 이 화면에서 맨 아래에 있는 TEXT ENCODING를 클릭하자기본이 시스템디폴트인데 이것을 UTF-8로 변경하면 된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한글이 보인다 2025. 2. 7.
아두이노 MPU6050 사용법 정리 이번에는 아두이노 가속도 / 자이로 센서 중에 가장 유명한 센서인 MPU6050의 사용법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어째선지 가장 유명하면서도 관련 콘텐츠나 정리되어있는 자료도 많지 않아 제가 접해보면서 알게 된 내용을 조금이나마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MPU6050이란?   MP6050은 인벤센스(invensense) 사에서 개발한 자이로, 가속도 센서 중의 하나입니다. 쓰기도 간편하고 가격도 저렴한 편이어서 인기가 정말 많은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징내용단위부가 설명 동작전압5V ~ 3.3V ic 자체는 1.7~ 3.3V이지만 센서 모듈에 레귤레이터가 있습니다.통신 방식I²C(I2C,IIC) , SPI기본 I2C입니다.자이로 최대 측정값±(250/500/1000/2000)(*/sec)자.. 2024. 12. 18.
아두이노 우노와 NodeMcu의 성능 비교, MCU 속도 벤치 마크 퍼온글;아두이노 우노와 NodeMcu의 성능 비교, MCU 속도 벤치 마크출처: https://postpop.tistory.com/78 [postpop:티스토리] 아두이노 IDE에서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NodeMcu는 아두이노 우노보다 저장공간, 즉 메모리가 더 클 뿐만 아니라 MCU 속도도 더욱 빠르다. NodeMcu를 아두이노 IDE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ESP8266 라이브러리를 포함하고 있는 ESP8266 아두이노 코어를 아두이노 IDE에 설치하여야만 한다. 설치 방법은 이전 글 아두이노 IDE에 ESP8266 사용 환경 설치하기 을 참조하기 바란다.  성능 테스트를 위해 이전 글에서 실행했었던 Shuffle용 코드를 아두이노 우노와 NodeMcu에서 실행하고 코드가 종료되는 시간을 5회에 걸쳐.. 2024. 6. 23.
LM393 사운드센서 자료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int Sensor = A0; void setup() { Serial.begin(9600); pinMode(Sensor, INPUT); pinMode(13, OUTPUT); } void loop() { int Sound = analogRead(Sensor); Serial.println(Sound); if(Sound 2024. 1. 9.
아두이노 시리얼출력 txt파일로 저장하기 아두이노 시리얼출력을 txt 파일로 저장하기 위해 coolterm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설정단계는 아래와 같다. 1. 아두이노 연결, 시리얼포트 확인, 컴파일 2. coolterm 실행, option에서 연결된 시리얼포트를 선택한다 (다른설정 사항는 굳이 안해도 된다) 3 . coolterm Connect를 클릭하면 연결된다 (아두이노 IDLE 시리얼포트는 닫는다) 4. coolterm 메뉴 Connection >> Capture to Text/Binary File >> start 5. 저장할 경로와 파일명을 입력한다 6. 다되면 아래 그램의 stop를 선택하면 된다 참고 : coolterm창을 여러개 띄워서 여러개의 시리얼포트 정보를 저장할수 있다.(new) 참조 : https://dev91.tistor.. 2023. 10. 30.